Etc. 24

git repository 병합

먼저 github에서 다른 리포지토리들을.. 병합할 새로운 리포지토리를 만듭니다. git bash에서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git clone "리포지토리 주소" cd "리포지토리 이름" git subtree add --prefix="기존 리포지토리 이름" "기존 리포지토리 주소.git" "branch 이름" git push 저는 크롤링한 걸 병합하려고 만들었습니다. 1. github에서 Crawling 리포지토리 새로 생성 2. git bash 켬 3. git clone https://github.com/ChoiRhee/Crawling 4. cd Crawling 5. git subtree add --prefix=Naver_movie_review https://github.com/ChoiRhee/Na..

Etc./네? 2021.08.19

문자열

# 유용한 함수 txt = 'hello my name is almaeng' ## .index > 문자열에 없는 단어를 검색하면 error txt.index('y') ## find > 문자열에 없는 단어를 겁색하면 -1 출력 txt.index('y') ## 개수 세기 txt.count('m') ## 공백 제거 ### 양쪽 공백만 가능 txt.strip() # 문자열 포매팅 me = 'almaeng' print('hello my name is %s' % 'almaeng') print('hi~ I am {0}, {age} years old'.format('almaeng', age = 23)) print(f'hi hello its {me}')

Etc./파이썬 2021.07.18

random seed로 42를 사용하는 이유

머신러닝 딥러닝 책같은 걸 보면 항상 random seed로 42를 쓰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왜일까요???? 항상 42를 많이 사용한다고만 하고 왜 쓰는지는 책에서 안 알려주더라구요 42가 대체 뭐길래 ~ 42가 어디서 나온 자식이냐면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터를 위한 안내서"에서 나온 자식입니다. 그게 뭐여 ㅋㅋ 할 수 있겠지만 아주 유명한(???) 영화인데요 원작이 소설인가봐요. 은하수 어쩌고에 나오는 슈퍼컴퓨터(이름은 Deep Thought)가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의 해답" 이라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 750년간 계산을 했다는데.. 그 대답으로 내놓은 결과가 "42"랍니다. 전 42라는 숫자에 엄청난 비밀이 숨겨져 있을 줄 알았는데 딱히 그런 건 아니었네..

Etc./네? 2021.07.18

싸가지에 대해서..

꼰데소릴 거부하는 60대 로맨스 가이 입니다^^ 참고로 전 60대가 아닙니다.^^ "싸가지가 없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싸가지가 무엇일까요? 한양도성을 건립할때 인간(人間)이 갖춰야할 덕목(德目)에 따라, 동대문은 '인(仁)'을 일으키는 문이라 해서 흥인지문(興仁之門) 서대문은'의(義)'를 두텁게갈고 닦는문이라해서 돈의문(敦義門) 남대문은 '예(禮)'를 숭상하는 문이라 해서 숭례문(崇禮門)북문은 '지(智)'를 넓히는 문이라 해서 홍지문(弘智門)이라 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가운데를 뜻하는 '신'을 넣어 보(신)각(普信閣)을 건립했습니다 이는 한양도성을 오상(五常) 에 기초하여 건립한 것입니다. 오상이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으로 인간이 갖추고 있는 다섯가지 기본 덕목입니다. 인..

Etc./그냥 2021.05.19

엔트로피...

정보이론??? 데이터를 정량화하기 위한 응용수학의 분야 중 하나 정보량??? 어떤 정보를 얻었을 때 놀라는 정도 ex. 교수님이 수업을 마칠 때 하는 말 중 정보량이 가장 높은 건 C A. 다음 시간에 봅시다~ B. 다음 수업은 다른 교수님이 할 예정입니다 C. 모든 학생은 A 를 받을 것이고, 이 수업은 더이상 진행하지 않습니다. 일어날 확률이 적고 이야기를 듣거나 해당 정보를 얻었을 때 얼마나 놀라는지를 따짐 정보량이 높을수록 해당 정보의 중요도가 높아짐 엔트로피??? 정보량의 평균으로, 분자의 무질서를 측정 엔트로피는 불순도가 낮아지면 같이 낮아져서 0이랑 가까워진다. ex. A클래스에 B클래스가 반이나 섞여 있으면 정보량이 높다고 볼 수 있음. A클래스에는 당연히 A만 잔뜩 있을거라고 생각했는데 ..

Etc./네? 2021.01.29

에브리타임 해킹ㅋ

ChoiRhee/Everytime_timetableContribute to ChoiRhee/Everytime_timetabl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시각화 과제를 위해.... 주제를 생각하다가 이제 곧 수강신청이니까 강의목록을 함 해봐야겠다!! 싶었습니다. 에브리타임에 들어갔습니다. 전 당연히 로그인이 되어 있으니 그냥 시간표 보는 링크만 띡 올려놓고 강의 정보만 긁어오면 그만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근데 그게 아니었어요.제 힘들었던 하루를 잊지 않기 위해 글로 남깁니다... plan 11. 강의 목록 열기2. 구분: 심교로 바꾸기3. 강의 긁어오기 는 실패했씁니다. 로그인을 해야했고, 로그인을 하니 광고가 떴습니다.. 그래..

Etc./네? 2021.01.27